ab

서버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.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가리키는 말인데요. 서버와 클라이언트라는 두 개념은 서로 대응되는 개념입니다.

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C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는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정보를 받아 *웹 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볼 수 있는 원리입니다.

웹 브라우저 : 익스플로러, 파이어폭스, 크롬, 혹은 네이버 검색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도구 ‘홈페이지를 제작한다.’, ‘웹 앱을 만든다.’ 라는 의미도 기획자가 의도에 맞는 데이터를 자신의 서버에 넣어 고객들의 요청에 맞게 전달한다는 의미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렇게 기능이 다른 만큼 만드는 데도 다른 자원이 필요하겠죠? 다음은 인터넷 웹 페이지가 어떤 식으로 만들어지는 지 확인하겠습니다.

인터넷 웹 페이지가 *하이퍼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는 건 알고 계신가요?

하이퍼텍스트 : 사용자 지정이 아니라 독자가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식 각각의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HTML언어가 사용됩니다. 쉽게 말해 각 페이지 별로 내용물을 담는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. 참고로 이 파일을 어떻게 주고 받을지에 대한 규칙이 바로 *HTTP입니다. (인터넷 익스플로러 주소 창에서 많이 보셨죠!)

HTTP :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ML형식의 파일을 비롯하여 자바 스크립트, CSS 등의 파일들은 그 위치가 서버에 있든 개인 PC의 폴더에 저장되어 있든 브라우저로 불러오면 바로 실행이 됩니다. 이 파일들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오고 가는 파일들입니다.

HTML언어만으로 페이지를 만들고 정보를 담을 수 있지만 이것 만으로는 동적인 사이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. 동적인 사이트란 내용이 시간 별로 업데이트 된다거나 상황에 따라 바뀌는 구조를 뜻합니다. 게시판에 글을 올린다거나 뉴스 사이트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. 단순히 정적인 정보를 담는 것으로는 원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없습니다.

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두 가지가 더 필요한데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베이스와 HTML 파일들을 동적으로 연결해주는 도구입니다.

게시판이 있는 홈페이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.

게시판에 글을 올리면 새 정보가 저장되는데 작성자 명, 글 내용, 날짜, 조회 수 등이 포함됩니다. 이러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곳이 데이터베이스이며, 이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Oracle, dbm, MySQL 등이 있습니다.

이런 데이터 베이스와 클라이언트 쪽의 웹 페이지를 연결해 주는 도구는 바로 서버 쪽의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데이터베이스의 기존 자료들을 활용하여 조회 수를 카운팅하고, 새 정보를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등의 일을 수행합니다. 대표적인 언어로 PHP, ASP, JSP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.